전기자전거 상식, 파스와 스로틀 차이 알아보기 (PAS vs Throttle)

전기자전거 구입을 고려하시나요? 그렇다면 파스와 스로틀 차이 구분을 정확히 알아야 현명한 전기자전거 구입이 가능합니다. 각각 주행방식, 면허 필요여부 등 몇가지가 다르기 때문에 아래의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나에게 맞는 전기자전거를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파스와 스로틀 차이 알아보기 (PAS vs Throttle)

전기자전거의-레버가-클로즈업-되어-보인다-전기자전거는-파스와-스로틀-차이에-따라-페달링을-하는-파스-방식으로-구동하거나-레버를-돌려-구동하는-스로틀-방식으로-구동할-수-있다

전기자전거 주행 방식은 파스 방식과 스로틀 방식으로 나눠집니다. 파스와 스로틀의 차이는 구동 방식에 따라 나뉩니다. 파스 방식은 페달링으로 구동되는 방식이고, 스로틀 방식은 페달링 없이 레버나 버튼으로 구동하는 방식입니다. 대부분의 전기자전거는 파스 전용이거나, 파스와 스로틀 겸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EST 입문용 전기자전거 보기

파스(PAS) 방식

PAS(Pedal Assist System) 방식은 페달에 센서가 있어 사용자가 페달을 밟으면 이를 감지해 모터가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페달 돌리는 힘에 따라 모터의 힘을 조절하여 자연스러운 주행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언덕을 오르거나 바람의 저항이 클 때 파스 방식으로 운행하면 안정감있게 주행할 수 있습니다.

파스 전기자전거는 도로교통법상 자전거로 분류되어 운전면허가 따로 필요없으며, 자전거 도로에서 주행이 가능합니다. 다만, 파스 전용 전기자전거인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파스와 스로틀 겸용 자전거라면 면허가 필요합니다.

장점

  • 자연스러운 주행감
  • 페달링으로 오르막 등에서 더욱 안정감 있는 주행 가능
  • 스로틀 방식보다 배터리 소모가 적어 주행가능거리가 길다

단점

  • 모터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페달을 돌려야 함
  • 장거리 운행시 스로틀 방식보다 힘이 더 들 수 있음
👉 전기자전거 TOP 8 보기

스로틀(Throttle) 방식

스로틀(Throttle) 방식은 핸들바에 버튼이나 레버 형태로 장착되어 있어, 이를 작동시키면 페달을 구를 필요 없이 오토바이처럼 주행하는 방식입니다. 페달링이 필요없는 평면 도로나 내리막길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벼운 출퇴근 용으로도 좋고, 장거리 주행도 비교적 쉽고 편안하게 가능합니다.

스로틀 전기자전거는 오토바이에 가까워 도로교통법상 원동기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원동기 면허를 소지한 사람만이 운전할 수 있고, 의무적으로 헬멧을 착용해야 하고, 일반 도로만 주행이 가능합니다.

장점

  • 페달을 돌리지 않아도 모터 힘만으로 주행 가능
  • 장거리 운행을 쉽고 편안하게 할 수 있음

단점

  • 파스(PAS) 방식에 비해 배터리 소모가 큼
  • 원동기 면허가 있어야 주행 가능
  • 언덕이나 오르막은 페달의 힘이 필요

마무리

지금까지 파스와 스로틀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파스와 스로틀은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파스와 스로틀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자전거를 구입해서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글과 연관있는 포스팅

error: